[내 좋은 친구들, ‘F4’와 인사하실래요?] ② 불순함을 옹호하고 개인을 우위에 놓다
단일민족의 허구 혹은 신화가 깨진 것은 최근이었다. 그전까지는 순수(결)함은 자랑이요, 대세였다. 파리에 체류했던 저널리스트 고종석이 일찌감치 그 허구의 위험성과 관용의 필요함을 간파하고, 그 불온함을 전파한 책. 논리 정연한 글은 편지글 형식을 띠고 친근하게 다가온다. 다만 한 가지, 궁금하다. 과연 파리가 아니었다면, 그 생각, 그 논리, 가능했을까. - 준수 100자평 - ☞ [내 좋은 친구들, ‘F4’와 인사하실래요?] ① 인트로 불순함을 옹호하고 개인을 우위에 놓다, 《고종석의 유럽통신》 그건 구원이었어. 군대라는, 인분을 떠먹게 만드는 만행을 저질렀던 것은 아니지만, 폭압과 계급질서가 일상화된 감옥에서 만난. 으, 지옥에서 보낸 한철. 좀 과장하자면, ‘유럽통신’이라는 제목이 아녔다면, 군 간..
2011. 1. 13.
[내 좋은 친구들, ‘F4’와 인사하실래요?] ① 인트로
어쩌다, 운 좋게도, 공저자로 '꼽사리'를 꼈던 《100인의 책마을》. 책은 지난해 가을경 태어났으나, 그 속에 담긴 나는, 2년 전의 나이다. 물론, 지금의 나는 그때와 또 다르다. 편협하고 옹졸한 것은 여전하지만, 나는 달라졌다. 옳고 그름이나, 좋고 싫음(혹은 나쁨)과는 상관 없이. 책에 텍스트로 찍히기 전의 판본이다. 그러니, 정제되지 않은, 인터넷에서 좀 더 자유로이 쓸 수 있는 말도 있다. 올해, 나는 어떻게 달라지고, 변할 것인가. 그것이 궁금하다. 다만 그때나 지금 달라지지 않은 건, 이 엄한 세상, 버티고 견뎌야 한다는 것. 지키기로 마음 먹은 것을 큰 어긋남 없이 지켜나가고 싶은 마음. 그 마음 지키기가 가능하길. [저자 소개] 준수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 만든 커피 한 잔에 미소 짓고,..
2011.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