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종드 쭌/무비일락

<더 임파서블>, 서로 돌봐주기의 신공

by 낭만_커피 2013. 1. 22.

재난은 이야기를 낳는다. 재난의 불가피한 속성이다. 그 속에 인간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재난의 이야기를 다루는 태도다. 지금 우리는 타인의 고통을 스펙터클로 인식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수잔 손택은《타인의 고통》을 통해 그것을 입증했다. 많은 재난영화가 스펙터클 보여주기에 급급한 이유다. 그리고 실재 사건마저도 그것을 재난처럼 다루는 미디어로 인해 우리는 마음을 뺏기고 있다. 제 마음, 없다. 오로지 수동성만 지배한다. "영화 같다"는 말로 우리는 이미 재난을 스펙터클로 인식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감정을 무디게 만드는 것, 수동성이다.

 

<더 임파서블>은 그러나 다르다. 다른 재난영화가 보여주기에 급급해 하는 스펙터클을 무기로 내세우지 않는다. 쓰나미(tsunami)가 소재라고 해서 스펙터클의 전시와 억지 인간애를 끌어내는 구도이겠거니 했다. 뭐, 비슷하다. 그러나 분명하게 다르다. 쓰나미가 덮치지만 카메라는 쓰나미 아닌 쓰나미에 휩쓸린 인물의 육체적 상처에 집중한다. <해운대>에서 엄청난 파고를 과시하던 쓰나미의 것과 다른 태도다. <해운대>는 쓰나미를 스펙터클로만 소비했었다.

 

100년도 더 된 쓰나미는 이제 지진해일의 대명사가 됐다. 1896년 일본 산리쿠 연안, 2만여 명의 목숨을 앗아가면서 쓰나미는 국제 공용어가 됐다. 익숙하지 않던 그 단어, 널리 알려진 것은 2004년 인도네시아를 덮친 쓰나미였다. <더 임파서블>은 그때를 다시 호명한다. 실화에 기반해 이야기를 푼다. 다시 말하지만, 스펙터클은 뒷전이다. 쓰나미가 덮친 폐허에서 인간이 어떻게 살아남는가를 끈질기게 추적한다.

 

그래서 상처에서 피는 계속 나오고 찢긴 살점은 너덜거린다. 그럼에도 약은 물론 병원도 없다. 걷고 또 걷고 쓰나미가 또 닥칠까 나무에 기를 쓰고 올라야 한다. 인간은 이다지도 나약하다. 그것을 보는 것, 일종의 통각(痛覺)다. 내 것이 찢겨 떨어진 양, 피가 철철 흐르는 양, 아프고 아프다. 앞도 보이질 않는다. 어떻게 해야할지 그야말로 멘붕(멘탈 붕괴). 객석에 앉아서 이런 대리체험을 하게 하다니. 이 영화의 배짱은 한편으로 놀랍다.

 

생각해보라. 여느 재난영화가 스펙터클을 소비하게 만드는 방식은 '쾌감'에서 비롯된다. 즉, 내가 저기(재난)에 없음으로 느끼는 안도감에 맞물려 '데우스 엑스 마키나'(기계를 타고 내려온 신이라는 뜻으로 파국 직전 일거에 모든 것을 해결하는 존재)의 등장으로 게임은 끝. 관객들,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자본은 재난영화를 소비하는 패턴을 그렇게 길들였다. 재난영화가 블록버스터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이자, 블록버스터가 재난영화를 선호하는 이유이다.  

 

<더 임파서블>을 그래서 선뜻 여느 재난영화와 같은 선상에 배열하기는 어렵다. 여기서 재난영화라 함은 헐리우드식 블록버스터 재난영화를 뜻한다. (물론 재난영화마다도 결이 조금씩 다르다.) 이 영화의 감독 후안 안토니요 바요나도 재난영화라기보다 재난을 당한 가족에 겪은 체험기라고 했단다. 헐리우드식 블록버스터 재난영화의 공식은 없다. 재난에 저항하는 인류애와 위기 극복의 드라마 같은 건 없다는 얘기다.

 

이 영화는 그래서, 재난으로 모든 것이 망가지고 흩어진 페허 위에서 가족이 고난을 헤쳐 상봉하게 하는 것이 모든 것이다. 이 가족에게 오로지 집중한다. 감독의 영리한 선택이다. 가족의 성장을 통해 지금 우리가 필요한 것을 생각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숱한 인간 군상의 등장으로 헤맬 이유도 없고, 복선이나 암시를 생각할 겨를도 없다.

 

물론 그 과정에서 이 영화는 성장한다. 정확하게는 등장인물들이. 내가 받은 이 영화의 가장 큰 감동은 함께 돌봐주기, 서로 챙겨주기. 육체적 고통은 물론이요, 가족과 헤어진 아픔을 느리고 고통스럽게 전개하면서 그들은 조금씩 달라지고 성장한다. 나는 그것을 '서로 돌봐주기의 신공' '상호 챙겨주기의 미학'이라고 말하고 싶다. 큰 아들 루카스의 변신(?)이 가장 극적이다. 

 

내가 죽을지도 모르는데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건 사치라고 여기던 루카스(톰 홀랜드)는, 고통과 끊임없이 마주치면서 다른 사람을 돌아보기 시작한다. 엄마 마리아(나오미 왓츠)를 간병하던 중, 그는 다른 사람을 돕는 기쁨을 맛본다. 마리아의 권유였지만, 그는 그것에서 기쁨을 맛본다. 뭔가 가서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을 거라는 마리아의 말이 허튼 말이 아님을 확인한다.   

 

 

마리아가 수술실로 들어가고, 되찾은 아빠 헨리(이완 맥그리거)는 엄마를 잘 돌봐주어서 고맙다고 말한다. 성큼 성장한 루카스는 이리 답한다. "서로 돌본 거예요." 아, 가슴을 훑고 지나가는 이 저릿한 감정은 무엇인가. 함께 돌보고 챙김으로써 우리는 살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의 본디 삶이요, 세상의 원리다.

 

헨리도 그런 경험을 한다. 아내와 루카스를 잃고 상심에 빠져 있는 그가 다른 사람의 휴대폰을 빌려 장인어른에게 전화를 한다. 그리고 오열하면서 남의 전화라며 서둘러 끊은 헨리에게 휴대폰을 빌려준 남자는 말한다. "다시 거세요. 그렇게 끊으면 안 돼요."

 

우리는 서로가 서로에게 번져야 산다. 혼자여선 안 된다. 서로 챙기고 함께 돌봐줘야 한다. <더 임파서블>이 내게 준 번짐이다. 블록버스터니 재난영화니 따위의 수사에 현혹되지 마시라. 이것은 번짐의 영화요, 함께 돌봐주기의 신공을 보여주는 영화다. 자본의 쓰나미가 모든 것을 삼킨 시대. 그 쓰나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이 영화는 보여준다. 쓰나미는 메타포(은유)인 셈이다. 자본의 쓰나미로 고통이 일상화된 시대, 우리는 서로 함께 돌보고 챙겨야 하는구나. 마을공동체, 공유도시, 사회적경제, 공정무역, 우리는 서로 연결되고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려주는 단어들이다. 쓰나미에서 우리는 살아남을 수 있다.

 

영화 <더 임파서블>, 재난영화 블록버스터가 아닌 감동 실화 블록버스터다. 감동이 블록버스터급으로 다가온다는 얘기다.  

 

그래서,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