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부2

갓 퐈더, 브란도 형님, 잘 계시오? 그, 빠바바바 바 바바, 빠바바바 바 바바... 하고 사운드가 기어나올 때, 나는 이미 넉다운이었다. 이런 감격이 있나, 허. 눈물까지, 시큼. 를 필름으로 첫 대면하는 그 순간. 이제야 필름 스크린으로 알현하게 된 송구스러움도 꾸물거리고, 지금에라도 필름으로 대면할 수 있게 됐다는 뿌듯함도 꿈틀대고, 아, 그 때 그 순간의 느낌을 글로 표현하기엔 내 필력이 딸릴 뿐. 띠바. 가 고전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렇게 보고 또 봐도, 여전히 새롭고 흥미진진하기 때문이 아닐까. 이 빌어먹을 가족 서사는 지금에서도 충분히 현실을 향한 사유를 가능케한다. 하긴 어느 시대에든, 이 서사가 사유와 흥분을 멈추게 할 리는 없지. 아울러, 말론 브란도가 아닌 돈 콜레오네는 상상 불가능. 나의 상상력이 부족한 탓이라고 탓.. 2010. 7. 29.
영원한 대부, '말론 브란도' 3주기 덧 없이 스러지곤 하는 인생길. 하나의 생명이 나고 자란 길목에는 무엇이든 흔적이 남기 마련이다. 그것이 티끌만치 소소하건, 밤하늘의 별처럼 밝게 빛나건. 그건 상관없다. 그리고 그 흔적은 인생길목 곳곳에서 파생품을 남긴다. 의도하건, 그렇지 않건. 한 생명과 아무 연관이 없어도 그만이다. 그 길목엔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남고, 우연이 어떤 재밌는 그림을 그려내기도 한다. 이런 글 역시 그런 파생품이다. 나와는 실상 무관할 것 같지만, 그럼에도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세계 속에서 생을 영위하던, 어쩌면 몇개의 고리를 연결하면 끈이 닿았을 지도 모를 사람들에 대한 추모 혹은 소회. 근데 내가 끊임없이 기억의 회로를 돌려대는 이유는 뭘까. 나 자신도 뚜렷하게 그 이유를 댈 수가 없다. 그냥 인위적.. 2007. 7. 2.